728x90

https://youtu.be/MFzDaBzBlL0

 

1. 내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과연 사실인가?

2.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정말로 할 수 있는 일인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3. 교사는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4. 아는 것과 할 수 있는 것 사이의 갭을 어떻게 줄일 것인가?

 

 

728x90

1. 보편적 학습설계 전략

 (1) 표상의 원리: 학습목표 조직화, 질문의 다양화, 핵심 개념 이해, 미니 수업, 그래픽조직자

 (2) 표현의 원리: 표현 방법 선택, 학습 메뉴, 학습 선택판, 시행착오 경험 제공, 평가 체크리스트

 (3) 참여의 원리: 학습 속도의 다양화, 상호작용 기회, 전문가팀, 차등적 과제, 학습일지

 (4) 공통 실천 전략: 이퀼라이저, 다양한 도구와 자료, 지속적이고 적절한 피드백, 유연한 집단 편성, 학습계획서

 

2. 코칭수업 전략

  (1) 소통의 원리: 게임(놀이) 전략, 수업약속정하기, 클리어링, 학습자유형파악하기 등

  (2) 참여의 원리: 경청전략, 목표 세우기 전략, 지식의 공백 전략, 질문하기 전략 등

  (3) 깨달음의 원리: 메타인지 전략, 배움일지, 복습 전략, 피드백 전략 등

 

<참고문헌>

1. 『코칭수업 이야기』, 코칭수업연구회 지음, 2017

2.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도전,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 조윤정 외 지음, 2021

  

728x90

1.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

  ① 표상의 원리: 인지적 측면 - 어떻게 학습자들이 습득해야 할 지식을 '이해'하기 쉽게 제공할 것인가?

     - 학습 내용을 접근할 때, 텍스트, 실물, 동영상, 그림 등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 

  ② 표현의 원리: 전략적 측면 - 어떻게 모든 학습자들이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가장 잘 표현하도록 할 것인가?

    -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때, 글로 쓰거나 구술로 발표도 할 수 있지만 그림, 영상, 축구 등 신체적 표현도 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해야 한다.

  ③ 참여의 원리: 정서적 측면 - 어떻게 모든 학습자들이 수업에 참여하도록 할 것인가?

    - 다양한 선택권 제공, 도전과 자원의 적절한 균형, 협력, 스캐폴딩 제공, 대안적 도구 제공 등

    - 골디락스 법칙: 지나치게 어려워서도 안 되고 지나치게 쉬워서도 안 되며, 일의 난이도와 자신의 능력이 적절한 접접에서 만나서 과제에 완전히 몰입할 수 있게, 재미있게 해야 한다.

2. 코칭수업의 원리

  ① 소통의 원리:  함께있기, 경청하기, 인정하기, 연결하기, 질문하기

  ② 참여의 원리:  몰입(삶과 관련되게, 눈높이에 맞게, 재미와 호기심을 느끼게, 성취감 느끼게, 자율권과 선택권, 유익하게), 참여를 위한 차시 설계(예: 정동정, 경깨이 등)

  ③ 깨달음의 원리: 경험과 관찰, 연결하기, 음미하기, 제3의 눈

 

<참고문헌>

1. 『코칭수업 이야기』, 코칭수업연구회 지음, 2017

2.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도전,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 조윤정 외 지음, 2021

728x90

1. 보편적 학습 설계는 철학이라고 하면서 학습을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즉, 보편적 학습설계는 '모든 학생들에게 장애를 제거하여 출발선에서부터 모든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수업을 설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면서 보편적 학습설계의 철학을 엿볼 수 있겠다.

  ① 학습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② 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육에서 학습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에 

  ③ 다양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과 수업을 설계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④ 모든 아이들의 성장을 위해서

  ⑤ 학습자 주도성을 이끌어 내기 위해

2. 코칭수업 철학

  ① 사람은 다양하다: 코칭수업은 학생들의 다양성과 개성을 인정한다. 

  ② 사람은 성장한다: 코칭수업은 학생의 성장과 발전에 대한 믿음을 근간으로 한다.

  ③ 답은 내 안에 있다: 코칭수업은 학생의 잠재력을 믿으며 그 잠재력을 끌어내 주는 역할을 교사가 한다고 믿는다. 

  ④ 성장에는 협력자가 필요하다: 이 철학을 통해 교사의 정체성을 정의할 수 있다. 교사는 협력자이자, 안내자이다.

 

<참고문헌>

1. 『코칭수업 이야기』, 코칭수업연구회 지음, 2017

2.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도전,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 조윤정 외 지음, 2021

 

728x90

1. 보편적 학습 설계의 학습자 상

   ① 학습 자원이 풍부하고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

   ② 전략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학습자

   ③ 목적의식과 학습 동기가 뚜렷한 학습자

 

2. 코칭수업에서 구체화한 학습자 상 : 이는 제안수업에서 학생 관찰의 관점으로 활용할 수 있음.

코칭수업에서 학습자 상

 

<참고문헌>

1. 『코칭수업 이야기』, 코칭수업연구회 지음, 2017

2.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도전,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 조윤정 외 지음, 2021

728x90

1. 공평한 사용     →     공평한 교육과정: 누구나 할 수 있게!!!

2. 사용시 융통성     →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학생 한 사람 한 사람의 학습 방식 존중!!!

3.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     쉽게 가르치기: 학습자가 쉬운 방법으로!!!

4. 쉽게 지각할 수 있는 정도     →     다양한 표현 수단 제공, 선택권 제공!!!

5. 실수에 대한 포용력     →     장애 제거를 통한 참여 독려: 예) 비계 놓기, 배경지식 제공 등

6. 적은 신체적 노력     →     효율적으로, 성과가 나게!!!

7. 접근과 사용을 위한 충분한 크기와 공간     →     학습을 위한 적절한 환경 제공(물리적, 인지적, 정서적 구조 만들기)

 

<참고문헌>

1. 『코칭수업 이야기』, 코칭수업연구회 지음, 2017

2.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도전,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 조윤정 외 지음, 20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