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사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교수학습보다 평가를 먼저 설계해야 한다. 이를 백워드 설계라고 하는데, 지금은 선생님들도 백워드 설계가 무엇인지 많이들 알고 있다.
연구부에서 제공한 평가계획을 양식에 맞춰서 평가계획을 바로 세우는 것은 다소 힘들다. 그래서 전년도 평가계획을 살펴보고 그것을 수정하는 방식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 방법도 좋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세운 평가계획을 약간 수정한 경우, 실제 교실에서 해 보려고 하면 내 옷이 아닌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래서 평가 계획은 세웠으나 평가는 내 방식대로 하는 경우가 많다. 조금 힘들어도 방학이라는 여유 있는 기간을 이용하여 나만의 창의적인 평가계획을 짜 보기를 권한다. 교사 각자의 평가계획은 교사 교육과정으로 가는 기본이 된다.
함께 가르치는 동교과, 동학년 선생님이 걱정이라면, 내가 먼저 짜 보고 제안해 보면 어떨까. 내가 짠 평가계획을 초안으로 삼아 협의해 보기를 권한다. 오늘은 평가 계획 세우기의 준비 단계를 소개해 보려고 한다.

1. 성취기준 살펴보기: 2학기에 가르칠 성취기준을 포스트잇에 쓰면서 살펴본다.
이때 평가기준 (상)까지 살펴보면 좋다.
2. 성취기준 가지고 놀기: 포스트잇을 떼었다 붙였다하면서 하나의 단원으로 구성할 수 있는 성취기준끼리 묶는다.

성취기준 가지고 놀기

3. 대략적인 단원 구성하기
(1) 성취기준의 '내용요소 + 기능'을 뽑아낸다.
(2) 대략적인 평가내용 및 방법을 구상한다. (수행 단원, 지필 단원을 구분, 수행의 대략적 아이디어 생성)
(3) 평가 시기를 결정한다.
(4) 단원명을 정한다.

평가계획 준비 단계 결과물


※ 다음 글에 계속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