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1학년, 2학년, 3학년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확인한다.
학년별 교육과정 성취기준이 어떤 연계성을 가지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교사가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아이들을 데리고 올라가면서 교과를 가르치면 좋겠지만, 그런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이전 학년에서 아이들이 무엇을 배웠고 다음 학년에서 무엇을 배울지를 파악하는 것은 교과 연계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또한, 이전 학교급(예: 중학교의 경우에는 초등학교,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중학교)에서 무엇을 배웠는지를 파악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이는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체계표를 확인하면 된다. 내용체계표는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영역으로 되어 있다. 표로 일목요연하게 되어 있어 이전 학교급에서 무엇을 배웠는지 파악하기 쉽다.
'수업 설계 이야기 > 방학 때 느긋한 마음으로 교사교육과정 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단원 재구성을 위한 아이디어 및 유의사항 확인 (0) | 2022.01.18 |
---|---|
5. 포스트잇으로 하는 교육내용 재구성 (0) | 2022.01.17 |
4. 교사교육과정 준비단계 정리 (0) | 2022.01.14 |
3. 가르칠 학년의 방향과 목표 정하기 (0) | 2022.01.13 |
2. 학기별 성취기준 재배치하기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