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학년별 성취기준의 연계성을 확인했다면 자신이 가르칠 학년의 성취기준을 좀더 깊이 들여다 본다. 학교 및 교과의 상황에 따라 성취기준의 학기를 재배치한다. 이는 학교 행사나 우리 학생들에게 더 알맞은 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보자. 중학교 1학년 1학기는 신입생의 적응이 중요한 시기이다. 친구들과 친해지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교과에 들어온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따라서 교과서 상에는 1학년 2학기에 면담과 관련된 성취기준( [9국01-03])이 성취기준이 있지만, 1학년 1학기에 재배치하여 가르치고자 한다.  또한, 2학기에는 축제가 학교 행사로 잡혀있다. 이와 관련하여 교과서 상에는 1학년 1학기에 토의와 관련된 성취기준( [9국01-04])이 성취기준이 있지만, 1학년 2학기에 재배치하여 가르치고자 한다. 

성취기준을 확인하면서 이러한 대략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성취기준의 학기를 재배치하는 작업을 하는 단계가 교과상황에 따라 학기별 성취기준 재배치하기 단계이다. 

<예시: 중학교 1학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