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본격적인 교사 교육과정 짜기에 앞서 한 일
1. 학년별 성취기준 확인
2. 가르칠 학년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확인
교사교육과정을 짤 때, 아이디어 발산 과정에서는 컴퓨터로 작업하기보다 수작업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먼저 성취기준을 포스트잇에 쓰고 화이트보드에 학기 단위로 붙이면 준비 끝. ("2.학기별 성취기준 재배치" 참고)
3. 학교 비전과 학교 상황에 알맞은 교과 방향과 목표 정리
학교의 비전과 학교 상황을 고려하여 가르칠 학년의 거시적 방향과 구체적 목표를 정한다. 방향과 목표는 중요하다. 교사 교육과정에서 구현할 각 단원의 평가와 수업의 방법을 결정하는 북극성이 되기 때문이다.
'수업 설계 이야기 > 방학 때 느긋한 마음으로 교사교육과정 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단원 재구성을 위한 아이디어 및 유의사항 확인 (0) | 2022.01.18 |
---|---|
5. 포스트잇으로 하는 교육내용 재구성 (0) | 2022.01.17 |
3. 가르칠 학년의 방향과 목표 정하기 (0) | 2022.01.13 |
2. 학기별 성취기준 재배치하기 (0) | 2022.01.09 |
1. 학년별 교육과정 성취기준 확인하기 (0) | 2022.01.09 |